★ 활동: 2014~현재 [제1기 문서분야 파워셀러]
★ 분야
1. 문서: 면접 답변서, 논문, 서평, 서신, 탄원서, 축사, 생기부 세특 등
2. 번역: 영어/중국어/일본어 번역 [자유림 출판/번역 대표]
3. 글쓰기 교실
AI가 자소서를 써주는 시대
챗GPT로 대표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이후 AI로 표기)가 모든 것을 대신 해주는 시대입니다. 자소서도 AI가 대신 써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글을 배운 적 없는 현실에서, AI가 쓴 자소서는 꽤 높은 수준을 보장합니다.
AI는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를 딥러닝해서 결과를 도출합니다. 그래서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데 유용하지만, 결과물은 ‘보편적인 틀’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스스로 잘 아는 전공 분야를 질문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분명 잘 정리했지만, 뻔히 아는 말이 대부분이죠. ‘전혀 모르는 사람’에겐 큰 도움이 되지만, 최고 수준의 결과물을 낼 순 없습니다. 그래서 AI를 ‘참고’해서 직접 완성해야 합니다. AI는 다양한 사람들의 데이터를 종합해서 만드는 그럴듯한 글만 만들기 때문입니다.
자소서는 오롯이 ‘나’에 대한 소개여야 합니다. 다양한 데이터나 형식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본질은 나에 대한 통찰입니다. 인문학적 통찰이 필요한 이유겠죠. 여러 자료 참고해서 예쁘게 포장하는 게 아니라, 인터뷰를 통해 의뢰인을 이해하고 가장 적합한 자소서를 완성해드리겠습니다.

<미신시대> (2017, 자유림 출판)
글과 사람
최근 본업을 가진 상태에서 투잡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 늘었습니다. 저는 다른 일을 하지 않고 글만 씁니다. 대학원에서 공부하며 프리랜서로 글을 쓰기 시작했고, 그게 계기가 되어 이제는 글만 쓰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많은 글을 쓰면 ‘노하우’를 익힙니다. ‘글 쓰는 기술’이라고도 하죠. 하지만 그 ‘틀’에 갇히면 늘 쓰던 글만 쓰게 됩니다. 가령, 소개서를 많이 쓰면, 정형화된 소개서를 잘 쓸 수 있습니다. 한국 회사에서 좋아할 스타일로 쓰면 되죠. 쉬운 일입니다. 하지만 “성장 환경, 지원 동기, 성격 장단점, 입사 후 포부”만 물었던 과거와 달리, 창의적으로 질문하며 기본 소양을 파악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모두 비슷한 정답을 말하기 때문에 진짜 인재를 구분하려는 거죠.
하나의 틀에 갇히지 않으려면, 글과 사람의 본질을 이해하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인문학적 소양이 중요한 이유죠. 특히, 철학은 순수한 ‘논리’로 이루어진 학문이기에 어떤 분야의 글이든 소화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에서 논문을 쓰고 책을 출판한 경험은 일반적인 글을 많이 써본 것과 차원이 다릅니다. 그 외에도 수백 편의 글을 교정했고, 축사, 취임사, 탄원서 등 일반적으로 접하기 힘든 글도 소화하며 많은 간접 경험을 했습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쓰는 것은 그 사람이 되는 일과 같습니다. 기술이나 요령이 아니라, 글과 사람에 대해 사유해야 합니다. 적절한 인터뷰를 통해 의뢰인을 이해하고, 가장 적합한 글이 나오도록 돕겠습니다.
<스피노자> 세미나(2013)
서비스 비용 (1문항, 500자 기준)
컨설팅: 10~15만 원
첨삭: 5~10만 원
문장교정: 2만 원
글은 공산품이 아닙니다. 글의 난이도, 의뢰인 요구사항, 기간, 자료검색 여부, 상업성 등 모든 것을 고려해서 견적을 내야 합니다. 똑같이 1000자를 써도, 10배의 노력이 필요하면 비용도 10배 높게 책정됩니다. 따라서 주문하기 전 반드시 ‘무료 견적’을 받아주세요.
아무 일이나 맡지 않고, 자신 없는 글은 처음부터 양심에 따라 사양하겠습니다. 그리고 작업을 하게 된다면, 적어도 남들보다는 좋은 피드백을 드리겠습니다. 만약 예상보다 견적이 높다면 결과물 퀄러티 역시 예상보다 높을 것입니다.
다양한 곳에서의 소통들
- 저렴한 비용만 생각하다 피해 본 사례

- 스스로 결과에 만족한 사례
- 입시학원의 손길
학원이나 업체의 비용이 높은 이유는 '중간 수수료' 때문입니다. 학원 선생님들은 글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 저와 같은 프리랜서 작가를 고용해서 씁니다. 그나마 저렴하게 써주는 작가를 선호하기 때문에 오히려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요.

- 판매자 인성에 감동한 사례
- 합격 사례(의 일부)